NOTICE & EVENT
-
2023 - 06 - 12
KAIDEC-이화여대 국제개발협력연구원 기획세션(6/23(금)) 국제개발협력연구원에서 오는 6월 23일 (금)에 KAIDEC(국제개발협력학회)의 하계학술대회에서 글로벌 보건협력을 주제로 기획세션을 구성합니다. 해당 주제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누구나 대면 혹은 비대면으로 참가 가능하므로, 관심있으신 분들은 본 기획세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하단의 정보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본 기획세션에 참석하길 원하시는 분은 하단의 사전등록 링크를 통해 사전등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대면으로 참석시, 케이터링이 제공됩니다. 「국제개발협력학회-이화여자대학교 국제개발협력연구원 글로벌 보건협력 기획세션」 ○ 주제: 포스트 팬데믹 시대 한국의 글로벌 보건협력 추진방안 ○ 일시: 2023년 6월 23일 (금) 오전 10시 - 오후 5시 30분 ○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ECC 이삼봉홀 (Zoom 온라인 실시간 중계 진행) 라운드테이블 기획세션 1 (한국어) “한국 공공부문의 글로벌 보건협력: 방향성 및 비전” 오전 10:00-11:30 (90분) - 좌장: 강민아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 패널 1: 강주홍 (국무조정실 개발협력기획국장) - 패널 2: 원도연 (외교부 개발협력국장) - 패널 3: TBC (기획재정부 개발금융국장) - 패널 4: 한상균 (보건복지부 국제협력담당관) 라운드테이블 기획세션 2 (영어) “South Korea’s Global Health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오후 4:00-5:30 (90분) - 좌장: 김한이 (라이트펀드 대표) - 패널 1: Nishant Jain (Health Specialist, ADB) - 패널 2: Willo Brock (Executive Vice President, External Affairs, FIND) - 패널 3: Gro Anett Nicolaysen (Country Lead for Nordics, Middle East, ASEAN and Korea, CEPI) ○ 온라인 Zoom 링크 주소: https://us06web.zoom.us/j/81636551589?pwd=V3NPMTZ1dnh1UmVMOGR5NkltSlkrQT09 ○ 형식: 대면 + 비대면 하이브리드 진행, 동시통역 제공 ○ 공동주최: 국제개발협력학회, 이화여자대학교 국제개발협력연구원 ○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wkbZniEcxffLXbbo82023 - 05 - 25
[학부] 2023년 8월 졸업증서(학위기) 영문성명 확인 안내(학부/일반대학원) 2023년 8월 졸업생(학부/일반대학원) 대상으로 안내하여 드립니다. 유레카에 영문 성명이 입력되어 있는 학부/일반대학원 졸업생에게는 영문 졸업증서(학위기)를 발행하여 드리고 있습니다. 발급될 영문 졸업증서(학위기)의 영문성명은 유레카 포탈 영문성명과 동일하게 반영되므로, 영문성명 형식 및 스펠링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에 영문성명 확인 및 변경 방법을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졸업예정자는 기간 내 반드시 영문성명 확인 및 변경을 완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가. 대상자: 학부 및 일반대학원 재학생(또는 수료생) 중 2023년 8월 졸업예정자 나. 확인 및 변경 방법 1) 메뉴: 유레카>학사행정>학생종합정보>개인정보변경>영문이름에서 확인 및 변경 가능 2) 확인해야할 사항 - 여권 성명과 스펠링을 동일하게 표기함 - “성, 이름” (성,(콤마) 한칸 띄고 이름) 형식을 기본으로 함(예: KIM, EWHA) 단, 기본형식을 원하지 않는 경우 원하는 형식으로 입력 가능 * 영문 졸업증서 및 학위기에는 모두 대문자로 표기(소문자는 자동 변환 예정) 다. 확인 및 변경 기간: 2023. 6. 7.(수) ~ 2023. 7. 28.(금) 라. 유의사항 - 영문성명 미입력자는 영문 졸업증서(학위기)를 교부하지 않음 - 졸업증서(학위기)는 재발급 또는 추가 발급되지 않음 - 졸업예정자는 확인 및 변경기간 종료 후 영문 학위기 발급 작업이 진행되는 졸업일자인 2023. 8. 25(금)까지 유레카 포탈 영문명 수정 불가함. -
-
2025 - 05 - 09
[Event] 풀브라이트 유학·연구 장학 프로그램 설명회 1. 행사 개요 가. 일시: 2025년 5월 13일 화요일 오후 12시(약 1시간 30분 소요 예정) 나.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신세계관 101호 2. 행사 프로그램 구분 진행자 내용 인사말 동문회장 -행사 소개 풀브라이트 장학금 소개 한미교육위원단 -풀브라이트 장학 프로그램 세부 내용 설명 *대학원 장학 프로그램: 학부생 대상 *Post Doc. 장학 프로그램: 박사 대학원생 대상 *교수/전문가 장학 프로그램: 교수 대상 미국유학 소개 EdUSA -미국 유학 준비 방법 안내 풀브라이트 경험 공유 동문 -유학경험 및 유학을 위한 Tip 공유 Q&A 동문 & 한미교육위원단 -질의응답 부스상담 한미교육위원단 / EdUSA -1:1 상담 참가를 원하는 분은 아래 포스터에 있는 QR코드를 통해 사전등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25 - 04 - 23
[Seminar]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개막 세션 초청의 건 주한북유럽대사관(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한국고등교육재단, 최종현학술원이 공동주최하는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 개막 세션에 대학 학부생, 대학원생, 학자 여러분을 초청합니다. 개막 세션은 5월 13일 (화) 한국고등교육재단빌딩 컨퍼런스홀(2호선 역삼역 인근)에서 오후 2~5시에 진행됩니다. 행사는 영어로 진행되며 현장 동시통역이 제공됩니다. 온라인 생중계는 병행하지 않습니다. 모든 순서를 마치고 노르딕, 한국 연사자 분들과 함께 다과를 나누며 네트워킹하는 자리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4개국 대사님들이 모두 참여하는 행사인 만큼, 유관 분야 학생과 학자들에게 의미있는 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한국 대표로는 서울대 심리학과 최진영 교수님, 최병일 前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님 (現 법무법인태평양 고문), 행복나래 SK프로보노 담당 이충섭 실장님이 연사로 참여하십니다. -링크: https://forms.gle/WBGNk19whi9h6ATaA2025 - 04 - 18
[세미나 Seminar] 제2차 휴먼아시아 인권아카데미 (강연자: 김남국 교수) [행사개요] ○ 주제: 김남국 교수가 전하는 표현의 자유 ○ 대상: 인권에 관심이 있는 청년(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 일시: 2025년 5월 17일(토) 오후 2시(KST) ○ 장소: 문화공간 성수 -주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1길9, 지하1층(2호선 뚝섬역 1번 출구에서 하차 후 도보이용 권장) ※본 강의는 한국어로 진행됩니다. ○ 강연자: 김남국 교수 - 現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 現 EU장모네(Jean Monnét) 석좌교수 - 前 한국정치학회 회장 - '청소년을 위한 정치학 대안교과서' 공동저자 - 마르퀴즈 후스후(Marquis Who’s Who) 세계인명사전 연속등재 ○ 신청방법 - 2025년 5월 9일(금)오후 3시(KST)사전신청 마감(선착순 30명) - https://bit.ly/humanasia_academy - 위 링크로 신청/접수(접수완료 후 일주일 이내로 확인 이메일 발송예정) ○ 수료혜택 휴먼아시아인권아카데미 수료증 발급 ○ 문의 *휴먼아시아사무국 -전화: 02-723-1673 -이메일:udhr@humanasia.org2025 - 05 - 08
[Event] 김수현 UNESCO 아태지역사무소장 및 대표 초청 간담회 채용정보 간담회 김수현 UNESCO 아태지역사무소장 및 대표 초청 간담회 채용정보 간담회 - 일시 : 2025.5.23.(금) 오후 4:30-5:30 - 장소 : 외교부 (정부서울청사 별관) 1층 모파마루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8길 60 외교부 (우편번호:03172) - 외교부 찾아오시는 길 : https://www.mofa.go.kr/www/wpge/m_4166/contents.do ※ 외교부 출입을 위해 유효한 신분증(주민등록증 등) 지참 부탁드립니다. - 연사 : 김수현 UNESCO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장 및 대표 - 참석 대상 : 대학교(원) 재학생, 졸업자 및 국제기구 진출 희망자 (※ 선착순 마감 예정) - 신청 방법 : 국제기구인사센터 홈페이지 팝업 공지 내 신청 링크 (https://unrecruit.mofa.go.kr/new/main/index.jsp) - 신청 기한 : 2025.5.19.(월) - 문의 : 외교부 국제기구인사센터(02-2100-8421/7241)2025 - 05 - 02
[Event] 2025 KGGTF Youth Internship Green Growth Sharing & Closing Day (5/30) KGGTF has been running an annual Youth Internship Program since 2023 to cultivate the next generation of green growth leaders. Interns participate in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lectures, field visits, and hands-on experiences, by collaborating with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World Bank, Korean government agencies, and the private sector over a 6-month period. The internship program, now in its second year, is coming to a close. During the completion ceremony, an analysis will be presented on the grant projects in seven key areas (Water, Urban, Transport, Agriculture, Digital, Environment, and Energy) that KGGTF has been promoting over the past 12 years. There will also be comments from experts from the World Bank, variou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Korean specialists, making it a very insightful and valuable session. Date & Time: May 30 (Friday), 2:00 PM - 5:30 PM Location: Seoul Global Center, near Jonggak Station [9th Floor, Seoul Global Center, 38 Jong-ro, Jongno-gu, Seoul, South Korea] This internship program will continue to be held annually, with applicants selecte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each year. The program runs from December to May of the following year. Please kindly RSVP by May 8th through the following link: RSVP Thank you. KGGTF는 2023년부터 차세대 녹색성장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매년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턴들은 6개월동안 세계은행을 비롯하여 다양한 국제기구, 한국정부기관,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강의, 현장 방문, 실무 경험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합니다. 올해로 2기를 맞이한 인턴십 프로그램이 곧 마무리됩니다. 수료식에서는 KGGTF가 지난 12년 동안 추진해온 7개 분야(물, 도시, 교통, 농업, 디지털, 환경, 에너지)의 그랜트 사업에 대한 분석이 발표될 예정입니다. 또한 세계은행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 및 한국 전문가들의 코멘트도 있을 예정으로, 매우 유익하고 가치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일시 : 5/30 (금) 오후2시-5:30 장소 : 서울글로벌센터, 종각역근처[서울특별시종로구종로 38 서울글로벌센터 9층] 본 인턴십 프로그램은 앞으로도 매년 운영될 예정이며, 매년 10월-11월경 지원자를 선발하여 12월 부터 이듬해 5월까지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다음 링크를 통해 (RSVP ) 참여의사를5월 8일까지 밝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