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소라(2017. 8.) | 다중관점 읽기의 발달 양상과 교육 내용 연구: 인식론적 신념을 기반으로 | 
          
            | 김윤정(2018. 2.) | 공감 기반 설득 화법 교육 연구 | 
          
            | 이은홍(2018. 2.) 
 | 감각의 재구성으로서의 시 감상 교육 연구 | 
          
            | 유진현(2018. 8.) | 시 해석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 
          
            | 최은정(2018. 8.) | 문법적 모호성 탐구 교육 내용 연구 | 
          
            | 류수경(2019. 2.) | 자기결정 조정동기를 통한 독자 정체성 형성 방안 연구 | 
          
            | 전영주(2019. 2.) | 학습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어휘 교육 연구 | 
          
            | CHEN, JING(2019. 2.)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용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설명적 텍스트 수정 방안 연구 | 
          
            | 윤호경(2019. 8.) 
 | 심미적 소통을 위한 현대시의 상징 해석 교육 연구 | 
          
            | 오은하(2020. 2.) 
 | 다문서 이해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탐색, 통합, 비판을 중심으로 | 
          
            | PHAN, HOANG MY THUONG(2020. 2.)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내용 연구: 인문사회계열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 | 
          
            | 김윤경(2020. 8.) | 담화 서사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경험 대화 교육 연구 | 
          
            | 편지윤(2020. 8.) 
 | 행위주도적 독자(Agent Reader) 형성을 위한 읽기교육 연구 
 | 
          
            | WANG, DANDAN(2020. 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연속구성 교육내용 연구 | 
          
            | 백목원(2021. 2.) | 비판적 다문화 문식성 교육 내용 연구 | 
          
            | 문선영(2022. 8.) | 심미적 관심 기반의 현대시 비평교육 연구 | 
          
            | 엄인영(2022. 8.) | 북한배경학습자의 관계지향적 소통을 위한 청자성 교육 연구 | 
          
            | 변경가(2023. 2.) | 학생 필자의 학교 쓰기 경험 과정 연구: 학교 급별 사회적-인지적 쓰기 경험의 변화를 중심으로 | 
          
            | Lin, Chencen(2024. 2.) 
 | 의사소통 의지의 요인 분석을 통한 한국어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 
          
            | NIU, LEI(2025. 8.)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질문 기능 교육 방안 연구 
 |